전체 글(16)
-
플라스틱 오염과 대책(+우리나라 현황)
위 사진을 보고도 별 감흥이 들지 않던 때가 있었다. "쓰레기 더미들이 놓여 있구나. 환경오염이 되겠네." 주입식 교육에 의한 일 차원적인 사고방식 덕분일까. 사진에 대한 평가와 판단만이 존재하고 뒤따라 와야 할 의미 있는 교육이 존재하지 않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할수록 위와 같은 사진에서 오는 파급력은 더 대단한 것 같다. 사진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알기 때문이다. 단순히 메시지가 아닌 우리 하나하나에서부터 기인하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플라스틱의 종류 먼저 우리 생활에서 쓰이는 플라스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기 위해 플라스틱의 종류에 대해 다뤄보려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플라스틱을 한 종류로 보고 분리수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도 많지만, 플라스틱의 종류는..
2021.12.06 -
독일의 전기요금은 얼마일까? (Feat.우리나라전기요금)
독일의 전기요금은 얼마나 비쌀까? 먼저 한국의 전기요금을 짧게 살펴보자. 일상 생활 속에서 전기세라고 자주 불리지만 사실 전기료 혹은 전기요금이라고 말하는게 맞다. 전기요금을 살펴볼 땐 주로 통화/kWh (킬로와트시)를 봐야하는데, 이유는 금액만 따져 볼 경우에 사용량에 따라 비교가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집은 한 달에 3만원을 내고 B집은 한달에 2만원을 낸다. 같은 나라 같은 전기회사, 그리고 모든 조건이 같을 경우에는 A집이 전기요금을 더 많이 낸다고 할 수 있지만. 하나라도 다를 경우에는 실제로 사용한 전기량을 비교해야 누가 실질적으로 요금을 더 많이 내는지 알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한국의 전기요금에 대해 말하자면, 한국의 대부분의 가정의 경우에는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그에 따..
2021.11.30 -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공급 의무화 제도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 는 2012년도 부터 도입 되었으며,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대규모 발전 사업자들에게 연간 총 발전량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된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이상적으로) 우리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과 탄소중립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발전소가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지는 않습니다. 확실히 그렇지 않고 화석연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더 많습니다. 이러한 발전소들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를 어떻게 충족할 수 있을까요? 첫 번째 방법으로는 제도 충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갖추는 것입니다. 하지만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장..
2021.11.17 -
물의 순환 (Feat. 물 부족 국가)
우리 모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 바로 물입니다. 얼마 전 문득, "우리가 마시는 물은 어디서 오는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한 명의 친구와 이에 대한 작은 대화를 하며 우리가 얼마나 이런 간단한 토픽에 무관심하고 무지 또 한 번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물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지금 글을 읽는 여러분들이 코웃음을 치고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럴지라도 새로운 내용이 있고 배워가는 게 있기를 바랍니다. 물의 원천/분포도 많은 사람들은 지구 표면의 71 퍼센트가 물로 덮여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71 퍼센트를 100 퍼센트로 생각해도, 우리가 산업, 농업 그리고 생수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대략 1 퍼센트 이란걸 알고 계셨습니까? 첫 번째로, 지구 표면의 71..
202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