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
-
채식주의자로 전환하는 것이 정말 환경에 도움이 될까?
한국에 채식주의자는 많지 않다? 2019년 한국을 떠난 이후로 얼마나 많이 바뀌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30년간의 한국 음식 문화 경험과 인간관계로 비추어 봤을 때, 추측하건대 한국에서의 채식주의자 비율은 낮다고 말하고 싶다. 각종 나물, 비빔밥, 야채김밥 등의 음식이 존재하긴 하지만, 내가 채식주의자라면, 친구들과 함께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 간단한 활동에 조차 어려움을 느낄 것 같다. 예전부터 이어져 오던 우리 음식 문화 자체가 채식주의자의 식단과 거리가 멀었던 것인가 아니면 우리나라가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 친화적인 인식에 눈이 너무 늦게 떠진 것일까? 개인적으로 음식 문화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음식 문화에 대한 경계는 무너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제는 다른..
2022.01.22 -
리튬 이온 배터리 작동 원리
리튬 이온 배터리 작동 원리 리튬 이온 배터리는 현재 가장 핫한 배터리 중 하나로, 이는 높은 비출력, 비에너지와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낮은 자기 방전율이 한몫을 한다. 이전에 리튬 이온 배터리에 대한 한계로 가격의 경쟁력이 떨어져 대규모의 그리드에 적용하기는 힘들다는 점을 언급 한 바가 있다. 이 뿐만 비싸고 한정적인 자원이라는 단점(코발트)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활발히 개발 중인 리튬-에어(Lithium Air) 배터리가 상업화되기 전까지 리튬 이온 배터리에 대한 수요는 계속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작동 방식은 레독스 반응을 동반하는 납 축전지나 다니엘 전지와 조금 다르다. 전통적인 전지들은 레독스 반응에 의해 방/충전 과정에서 음극이나 양극 둘 다 이온의 탈착/결합에 의한 화..
2022.01.06 -
산화수, 산화와 환원
산화수 산화수(Oxidation number 또는 Oxidation state)란 원자 사이의 결합이 이온결합(Ionic bonding)이라고 생각했을 때의 가상 전하(Charge)로써, 다른말로 말하자면 산화(Oxidation)와 환원(Reduction) 반응(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을 합쳐 레독스 반응(Redox Reaction)이라고 한다)에서 나타나는 전하를 가리킨다. 산화수는 양수나 음수가 될 수 있다. 첫번째로 알아야 할 것은 하나로만 이뤄진 물질은 항상 산화수가 0이다. 예를들어 순수 마그네슘(Magnesium) 원자나 수소(Hydrogen) 분자는 산화수가 0이다. 두번째로 이온의 산화수에 대해 알아 보자. 일반적으로 이온의 산화수는 그 이온의 전하량이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하지만 ..
2021.12.25 -
리튬 아이온 배터리는 앞으로...
배터리? 그게 왜 필요한데? 신재생에너지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인공이다. 에너지 전환 정책에 힘입어 신재생에너지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지만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니다. 에너지 생산이 많아지는 만큼 에너지를 저장할 공간도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주어지는 숙제의 양 또한 늘어나고 있다. 화창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는 태양광, 풍력, 태양열 발전으로 생산되는 전기의 양이 늘어남을 의미하고 동시간 대에 소비량이 많지 않아 저울이 기울게 될 때가 에너지 저장 장치가 빛을 발하게 되는 순간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의 소비와 생산량의 불균형을 관리해주는 매니저이다."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중에 한 카테고리이며, 현..
2021.12.22 -
해양 쓰레기를 해결하는 새로운 아이템
지난번 플라스틱 오염과 대책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무책임하게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생태계 오염 및 인간에게 돌아오는 피해는 무시할 수 없다. 해양 쓰레기는 해안에서 버려지는 쓰레기와 육지에서 버려졌지만 해안으로 떠내려온 쓰레기를 합쳐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해양 쓰레기 예방과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을 실시하는데요.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은 우리나라 연안 40곳(동해안 9개소, 서해안 19개소, 남해안 12개소)을 선정해 2개월에 1회씩 지역 민간단체와 함께 해안 쓰레기의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2] 매년 해안에서만 발견되는 쓰레기 양이 4000kg을 넘는데, 대부분이 플라스틱을 차지하지만 다른 종류의 쓰레기들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플라스틱이 문제..
2021.12.17 -
태양광 발전: 갈등과 대안책
태양광 발전으로 인한 문제들 위의 사진은 태양광 발전에 대해 다루는 기사에 달린 댓글을 보여준다.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존재이며, 태양광 발전 확대 전략은 정부가 세운 2050년 탄소중립 계획의 핵심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셀 모듈 분야 세계 2위(한화 솔루션)라는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 확대 전략에 때라 매년 수만 개의 태양광 발전소가 지어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대해 좋은 시선들이 존재하는 반면, 안 좋은 시선들도 존재한다. 태양광을 많이 짓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 이를 위해 필요한 토지는 어떻게 마련할 것이며, 설치 이후의 설비관리와 발전상태는 어떻게 되는가? 태양광 발전에 관해 많은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과 신재생에너지 전반에 대한 비난적인 인..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