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
-
독일은 왜 현금결제를 선호할까?
한국에서는 계산을 할때 현금을 내는 사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현금 사용률이 낮고, 심지어 요즘은 카드도 잘 안쓰는것 같다. 00페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나타난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애플페이, 토스페이 등 금융 앱의 간편결제 서비스가 우리의 일상에 자리를 잡았다. 독일에서 지내면서 많은 것들이 이해가 안됬지만, 그 중 가장 이해가 안 된 부분을 하나 꼽으라면 많은 독일사람들은 상점에서 결제를 할 때 현금으로 한다는 것이다. 물론 나는 장보러 가서 계산을 할 때 카드로 결제했다. 카드로 결제하는 사람도 많지만 대부분 젊은 층의 경우이며, 퍼센트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주관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체감상 나이대가 젊은 사람들 중에서도 한 40%정도는 현금을 선호하는 느낌을 받았다. 2021년 기준으로 독일의..
2023.04.09 -
RE100이란 무엇이며 기업은 어떻게 이를 달성할 수 있나?
재생 에너지는 글로벌 에너지 믹스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많은 기업이 청정 에너지원을 채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깨닫고 있다. RE100 이니셔티브는 기업이 소모하는 전기의 100%를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에서 조달하겠다는 약속을 통해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글에서는 RE100이 무엇이며 기업이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RE100이란? RE100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 및 정부와 협력하는 비영리 단체인 기후 그룹이 주도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이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기업이 풍력, 태양광, 수력 등 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100% 전기를 공급받기로 약속하고 지정된 목표 날짜까지 이를 달성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RE100은 모든 규..
2023.03.15 -
행복해지기?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잠깐 서론... 독일 유학하던 당시 생일 선물로 책을 선물 받았었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Tenzin Gyatso가 쓴 "The Art of Happiness"란 책인데, 유학 도중 잠깐 가족을 방문하러 왔을 때 "집에 가서 할 거 없을 때 읽어야지~" 란 생각으로 가져갔다가 독일로 돌아갈 때 깜빡하고 책을 집에 놔두고 가버렸다. 유학을 마치고 2개월 전에 한국으로 돌아와서 책장에 꽂혀있는 이 책을 다시 발견한 순간, 다시 읽어야겠다고 다짐해서 가끔씩 들여다보고 있다. 내가 어릴 때는 그냥 운동장에서 공이나 차고 문방구에서 불량식품이나 먹으면 재밌고 행복했는데, 머리가 커지면서 없었던 개인적인 질병도 발생하고 사람과 엮일 일도 많아지고 책임감도 더해지니, 어떻게 하면 좀 더 행복을 느끼면서 살 수 있을..
2023.03.14 -
풍력 개발 절차에 대해 알아보자
발전 사업 허가와 사업 개시는 별개다 얼마 전 여느 때와 같이 인터넷을 떠돌다가 한 중앙일보 기사를 봤다. 2001년 부터 사업 허가를 받은 풍력발전 사업 321건 중 실질적 사업 개시는 47건 으로 전체의 15% 가량에 불과하다는 내용이다. 위의 이미지를 보고 느낀 점들은 다음과 같다. "사업 허가가 난다고 해서 사업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구나. 도대체 어떤 요인들이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을까?" "해상풍력이 최근에 떠오르고 있는 새로운 트렌드지만 현실은 더 시공에 들어가기 힘들구나." 그 중, 1번에 대해서 조금 더 얘기하고싶다. 풍력 개발사업 절차 풍력 개발사업은 수많은 절차를 수반한다. 독자들이 순서를 알아보기 쉽도록 절차명 왼쪽에 윗첨자로 숫자를 표시해 놓았다. 먼저 풍력 발전기를 계획하기전..
2023.02.14 -
암호화폐와 지속 가능한 발전
비트코인의 시작 세계에서 첫 번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2009년 Satoshi Nakamoto라고 불리는 어떠한 사람(실제 일본에 거주 중이신 Satoshi Nakamoto 씨 께서는 본인은 암호화폐와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하셨다.)으로 부터 개발되었는데, 개발된 배경 자체는 정말 의미 있고 획기적이다.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라는 뼈아픈 경험 이후에 정신적으로 깨어있던 이 사람은 이 모든 문제가 돈이 오고 가는데 정부, 은행, 회사라는 제 3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하였고, 블록체인이라는 P2P 네트워크를 만들어, 제 3자의 개입 없이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디지털 화폐를 개발/도입하였다. 이 글에서는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자세히 다루진 않을 것이다. (자세히 알지도 못한다..
2022.02.18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리뷰 (+개인적 리뷰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유엔 총회에 의해서 2015년 처음으로 아이디어/프로젝트 설립되었으며, 대체적으로 2030년까지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용은 서로 연관된 17가지의 목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설계도/청사진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몇몇 목표들은 달성 기한이 없다. 배경은 사실 그렇게 중요하진 않으니 이제 어떤 목표를 포함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자. SDGs가 처음 도입된 2015년에는 지속가능 발전 17가지 목표를 정했지만 각 목표에 대한 세부 내용이나 계획 등이 존재하지 않았다. 2년이 지난 2017년이 돼서야 유엔 결의를 통해 세부 목표/지표가 설립되었다. 193개국이 참여한 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많은 분야..
2022.02.05